본문 바로가기
건강

간경화(간경변증) 초기 증상 원인 치료

염증에 의해 간이 섬유화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 간경화(간경변증) 초기 증상 원인 치료 말기 복수 음식 검사 수치 완치 예방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간-이미지

 

 

간경화(간경변증) 개요

 

 

 

 

 

만성 간 질환의 결과로 정상 간 조직이 섬유질, 반흔 조직 등으로 교체되고 간 기능이 차츰 상실되는 질환이다. 

간의 염증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간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딱딱하게 변한 것을 말한다.

 

 

간경화(간경변증) 초기 증상

 

간경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진행이 많이 되어서야 조금씩 자각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1. 피부에 붉은 반점이 거미 모양으로 나타나는 거미 혈관종
  2.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손바닥이 정상인보다 붉어질 수 있다.
  3. 비장이 커지면서 왼쪽 옆구리에서 만져질 수 있다.
  4. 복수가 차고 양쪽 다리에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5. 피부 바깥쪽까지 확장된 혈관이 튀어나올 수 있다.
  6. 간기능의 저하로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7. 간성 혼수로 인해 행동이 변하거나 의식이 흐려질 수도 있다.

 

 

 

 

간경화(간경변증) 원인

 

주원인은 바이러스성 간염이다. 알코올 섭취로 인하여 심해진다. 

 

  1. 적절한 영양 섭취를 하지 않을 경우 알코올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2. 우리나라에서는 간경화증의 약 65%가 B형 간염, 15%가 C형 간염, 알코올성 간경화증은 5~7% 정도이다.

 

간경화(간경변증) 치료

 

일반적으로 간경화증으로 인한 간 손상은 원래대로 회복하기 어렵다. 치료하면 더 이상의 진행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1. 근본 원인 치료 : 알코올성 간경화증은 알코올을 끊는 것이 치료이다.
  2. 치료의 목표는 섬유화의 진행 및 그로 인한 간기능의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데 있다.
  3. 간경변증으로 인해 합병증 복수가 생길 경우 이뇨제를 사용하여 조절하며, 이 방법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반복적인 복수천자가 필요할 수도 있다.
  4. 심한 간경변증의 경우에는 간이식 통해 완치에 이르는 방법도 있지만 간 공여자가 필요하고, 수술에 따른 위험과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간경화(간경변증) 예방 방법

 

 

 

 

 

  1. 금주가 가장 중요한 예방법
  2.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포스팅 참고 하시구요.

병원 방문하셔서 간경화 의학적 검진과 판단, 치료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